포스코경영연구원이 함께 합니다.

글로벌 철강동향

일본언론, ″ASEAN의 탈탄소 기조, 현지 中 철강사에 영향″

2022-01-23

일본의 한 언론사는 ASEAN 국가들이 탄소 중립을 적극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ASEAN 철강사들 또한 탄소 중립과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보도(11.17.) 
      
  -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태국, 라오스는 '50년까지, 인도네시아는 '6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이 중,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은 '40년까지 단계적으로 석탄화력발전 퇴출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탄소 중립에 대한 ASEAN 국가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음

  - 이에 대응해, 동남아시아 철강협회(SEAISI)는 11.15.부터 11.26.까지 개최되는 2021 SEAISI Sustainability & Construction Fortnight e-Event에서 ASEAN 국가들의 탄소 중립 기조 강화에 대한 동남아시아 철강업계의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행사를 개최하였음 

    • 11.15.~11.19.까지 개최된 ASEAN Iron & Steel Sustainability Forum과 11.22.~11.26.까지 개최되는 SEAISI Sustainable Construction Forum 두 행사로 구성

     글로벌 관점의 지속가능성에서부터 기후 문제에 대한 철강산업의 전략 등 거시적인 논의부터 글로벌 주요 철강사들의 탄소 중립 전략과 탄소 저감 기술, 그리고 주요 철강 소비처인 건설 부문의 지속가능성에 이르는 폭 넓은 영역을 다루고 있음 

  * 그림 1. 2021 SEAISI Sustainability & Construction Fortnight e-Event 행사 개요 
    


SEAISI는 동 행사에서 ASEAN 국가들이 기후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며, 이에 따라 동남아 주요국들이 적극적으로 탄소세 등을 검토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   

  - Yeoh Wee Jin SEAISI 사무국장은 동 행사 강연을 통해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방콕과 자카르타가 바다에 잠길 것이며, 사이클론 등의 자연재해가 더욱 강력해지면서 베트남과 미얀마, 필리핀에 지금보다 더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고 언급

  - 
Yeoh Wee Jin 사무국장은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ASEAN 주요국 정부들이 CO₂ 배출량 저감에 적극 나설 것으로 보이며, 조만간 이것이 탄소세나 배출권거래제 등의 구체적인 형태로 나타날 것이라고 경고  

    싱가포르는 '19년부터 이미 탄소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태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는 탄소세와 관련된 법안을 검토중이거나 내년 법안 시행을 앞두고 있음. 일례로, 인도네시아는 '22.4월부터 CO₂ 1톤당 U$2.1 상당의 탄소세를 부과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 SEAISI는 보도자료를 통해 탄소세에 관한 언급을 하지 않은 국가들도 조만간 탄소세를 도입할 것으로 보이며, 아세안 철강사들은 ▶ 고로와 석탄화력발전소 등 탄소배출량이 많은 프로젝트 투자에 대한 재검토를 실시하거나 ▶ 탄소세를 부과받지 않은 수입 철강재에 대한 각국 정부들의 대응 촉구 등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 

○ 해당 언론사는 ASEAN 지역에서 고조되고 있는 탄소 중립에 대한 관심이 ASEAN 지역으로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는 중국 철강사들의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진단

  - 특히, 중국계 철강사들은 ASEAN 지역에 고로 설비 건설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ASEAN 국가들이 추진하고 있는 탄소세 등의 관련 정책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

     해당 언론사는 중국 도화집단(攀華集団)이 필리핀에서 추진하고 있는 연산 400만 톤급 제철소와 문안강철(文安鋼鉄)이 말레이시아에서 진행중인 1천만 톤급 제철소 등이 '24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고 분석  

  * 그림 2. 중국 철강사들이 ASEAN 지역에서 추진중인 제철소 프로젝트 개요   
    


  - 해당 언론사는 중국계 철강사들이 ASEAN에 신설하고 있는 설비 규모가 ASEAN 역내 수요를 웃돌고 있어, 탄소 배출량이 많은 고로 설비를 ASEAN 국가들에서 가동한 후 반제품을 중국으로 수입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 

    → 향후 ASEAN 지역 국가들이 탄소세 등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 그리고 현지 철강사들과 중국 철강사들이 이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