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한 언론은 전세계적인 신재생에너지 전원(電源) 확대에 따라 변압기 등에 사용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수요 또한 증가할 것이라고 보도(12.23.)
- 방향성 전기강판(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은 압연된 방향을 따라 매우 우수한 자기 특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로 변압기 등과 같은 철심 재료로 사용됨
* 전기강판은 방향성 전기강판과 무방향성 전기강판(Non-Oriented Electrical Steel) 두 종류가 있음. 방향성 전기강판은 압연 방향과 함께 다른 방향에서도 균일한 자기특성을 나타내는 강판으로 모터 등 회전기기의 철심 등으로 활용됨
* 그림. 방향성 전기강판과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비교
- 해당 언론사는 전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전원(電源)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변압기 수요 또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전력 변압 과정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해 변압기에 철손(Core loss)이 적은 고품질 방향성 전기강판을 채용하는 경우가 증가할 것으로 진단
* 참고. 글로벌 풍력 발전용량 추이 및 전망치(단위: GW)
신재생에너지 전원(電源)에서 변압기의 역할
- 신재생에너지는 기상 요인 등에 따른 발전량 편차가 크기 때문에 전력망에 곧바로 연결할 경우
정전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 이에 대한 방지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단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전력망 공급에 적절한 품질로 변환시켜 주는 변압기가 요구됨
- 특히, 최근에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적합한 자연 환경을 보유하면서 대규모 단지의 조성이
쉬운 사막이나 바다 등을 이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음
• 이들 지역은 도시 등 주요 전력 소비처와 거리가 멀어, 장거리 송전 과정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손실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고압 직류 송전(HVDC) 방식 등이
검토되고 있음
• 일례로, 해상풍력 단지 개발이 활성화되어 있는 EU권 국가들의 경우 HVDC 방식을 도입해
송전 손실을 줄이고자 하고 있음. 이를 위해서는 대형 변압기를 사용해 생산된 전력을
고압의 직류전력으로 변환해야 함
* 그림. 초고압 직류 송전(HVDC) 방식 개요
![]()
○ 고품질 방향성 전기강판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단기간에 공급량을 늘리기 힘든 특성으로 인해 가격 상승과 공급 부족의 문제가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상황
- 방향성 전기강판은 열처리(焼鈍) 공정을 통해 소재 내 탄소를 제거하고 가공에 의해 변형된 조직을 재결정화해야 하기 때문에 고품질 제품의 안정적인 생산이 쉽지 않은 데다가, 이에 대한 기술력을 갖춘 철강사들의 수도 한정되어 있음
- 게다가 고품질 방향성 전기강판의 생산 기술을 가진 철강사들의 경우, 전기차(EV) 생산량을 빠르게 확대하고자 하는 자동차사 등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무방향성 전기강판 생산을 강화하고 있어, 방향성 전기강판 생산량을 쉽게 늘릴 수 없는 상황임
→ 이로 인해, 현재 가격 상승과 공급 부족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음
* 그림. 전기강판 생산 공정 개요 및 소둔 공정 설명 자료(출처: 포스코 홈페이지)
- 해당 언론사는 일본의 상황을 사례로 제시하였음. 현재 일본 내 고품질 방향성 전기강판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그 특성으로 인해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다 보니 가격이 높은 데다가 수요가들이 적정 물량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수요가들은 해외에서 생산한 방향성 전기강판을 수입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고품질 방향성 전기강판의 가격 상승과 공급 부진 현상이 전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여전히 물량 부족을 해소하지 못하는 상황
• 일례로, 중국 보산강철(Baosteel)은 '22.1월부터 일반 강재류의 가격은 인하하면서 방향성 전기강판의 가격은 반대로 톤당 RMB300(약 5만 6,000원) 인상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짐
○ 일본제철 등에서 전기강판 생산 능력을 강화하고 있지만 단기간의 생산량 증가는 어려우므로 고품질 방향성 전기강판의 가격이 추가 인상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됨
- 일본제철은 히로하타 지구에서, JFE스틸은 쿠라시키 지구에서 전기강판 생산 능력 증강을 추진 중이나, '23년~'24년 이후부터 증산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단기간에 일본 내 고품질 방향성 전기강판 생산량의 증가는 어려울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