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경영연구원이 함께 합니다.

글로벌 철강동향

中 철강공업협회, 中 전기강판 수급 현황 및 전망 분석

2024-09-10

○ 중국 철강공업협회(CISA)는 산하 철강 전문 잡지 ‘야금관리잡지(冶金管理杂志)’의 보고서를 기반으로 중국의 전기강판 수급 현황 및 전망을 분석

  - ’22년 기준, 중국은 글로벌 전기강판 생산량의 약 75%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 전기강판 생산국임

  - ’23년 말 기준 중국의 전기강판 생산 업체는 46곳임. 이들의 연간 전기강판 생산능력은 1,667만 톤으로, 그중 방향성 전기강판은 296만 톤,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1,371만 톤임  

  - 이때, 방향성 전기강판 생산량은 전년 대비 22.13% 증가한 265.02만 톤, 무방향성 전기강판 생산량은 전년 대비 8.13% 증가한 1,204.07만 톤을 기록

  * 자료. 중국의 전기강판 생산량 추이
  

  * 자료. 야금관리잡지(冶金管理杂志)

○ 이러한 가운데, CISA는 신에너지차 구동 모터에 사용되는 무방향성 전기강판 수요에 주목. 중국 내 신에너지차 보급률이 지속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신에너지차용 무방향성 전기강판 수요 역시 증가세가 이어질 것임

  - 참고로, 승용 BEV(순수 전기차)에 사용되는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1대당 평균 60kg, 승용 PH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57kg, 상업용 BEV는 220kg임

  - CISA는 중국의 신에너지차 판매량이 ’23년 949.5만 대에서 ’25년 1,500만 대, ’30년 2,000만 대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

  - 이에 따라, 중국의 신에너지차용 무방향성 전기강판 수요는 ’25년 100만 톤, ’30년 152만 톤에 달할 것으로 추산

  * 자료. 중국의 신에너지차용 무방향성 전기강판 수요 추이
  

  * 자료. 야금관리잡지(冶金管理杂志)

○ 이에 더해, 신에너지차를 비롯해 가전 제품·대형 발전기 등의 에너지 효율 향상 요구가 확대됨에 따라,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 수요가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전망

  -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 은 모터가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줄임. 즉,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 사용 시, 가전 제품·대형 발전기 등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며, 신에너지차의 경우 주행거리 개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

  *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 해당 보고서에서는 고효율 전기강판을 철손값이 4.00W/kg 이하인 것을 가리킴. 나머지는 중·저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으로 명명

  - 한편, ’23년 중국의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 생산량은 369.94만 톤으로, 무방향성 전기강판 생산량의 31.21%, 전체 전기강판 생산량의 25%를 차지

  - 이때, CISA는 중국의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 수요가 ’25년 500만 톤, ’30년 860만 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산

    • 해당 전망치에 의하면, 중국 전체 무방향성 전기강판 수요에서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비율은 ’23년 31.21%, ’25년 46%, ’30년 57%로 확대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