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경영연구원이 함께 합니다.

글로벌 철강동향

브라질철강협회 “’24년 브라질 국내 철강 소비량 YoY 9.6% 증가... 순수입량 급증은 우려점”

2025-04-17

○ 브라질철강협회는 ’24.1~11월 데이터에 기반해 ’24년 브라질 철강 생산량∙소비량이 모두 증가할 것으로 추산('24.12.17.)


  - ’24년 브라질의 조강 생산량은 3,379만 톤(YoY 5.5%), 그중 내수 판매량은 2,117만 톤(YoY 8.4%)으로 추산


  - 또한, ’24년 브라질의 철강 명목 소비*는 2,628만 톤(YoY 9.6%)으로 추산
    *명목 소비 : 생산량 - 수출량 + 수입량

    ⇒ 브라질 국내 철강 소비의 강력한 성장세는 ▲자동차(YoY 12.1%), ▲건설(YoY 4.1%), ▲기계 및 장비(YoY 1.0%) 등에서 생산 활동이 빠르게 개선된 덕분


○ 다만, 중국산 철강을 중심으로 순수입량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음을 지적

  - ’24년 브라질의 철강 수입량은 623만 톤(YoY 24%)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 그중 92%가 중국산이었음


  - 반면, ’24년 브라질의 철강 수출량은 994만 톤(YoY 15.2%)으로 크게 감소

    ⇒ 브라질 정부는 중국산 철강 수입의 빠른 증가세를 저지하기 위해 ’24.6.1부터 열연 강판, 냉연 강판, 선재 등에 수입 쿼터 조치를 시행했으나, 수입을 저지하지는 못하고 증가 속도를 늦추는 데 그침

        * 주브라질 대사관의 수입 쿼터 정보 보도 => (링크)

○ ’25년에도 브라질의 철강 소비량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그중 수입량 비중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


  - ’25년 브라질 철강 명목 소비는 2,666만 톤(YoY 1.5%)으로 소폭 증가 전망

  - 브라질 조강 생산량도 3,358만 톤(YoY 0.6%)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그중 내수 판매는 2,100만 톤(YoY △0.8%)으로 감소 전망


  - 반면, 철강 수입량은 ’24년 수입 대부분을 차지한 압연 제품(81%)을 중심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


  - 이에, 브라질철강협회는 코일 철근, 고탄소강 선재, I 형강, H 형강 등 4가지 제품을 수입 쿼터 적용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고려 중임. ’25년 상반기에 최종 결정될 것으로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