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철강 산업이 수요 부진과 공급과잉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고부가가치·고품질·고성능 강재 생산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
- 이런 추세에 따라, 현재 다수 중국 철강사가 고품질·고성능 강재 개발·생산에 나섬
○ 이에, 중국 언론에서 중국 철강사들의 고성능 강재 개발 및 공급 사례를 소개
1) 보강고분
- 보강고분은 자체 개발한 고강도·고인성 케이싱* BG155V를 중국 티베트 Tarim(塔里木) 분지 시추 프로젝트에 납품
* 케이싱: 시추공 벽면 손상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시추공에 시멘트로 고정하는 강관
- 이는 중국 최초로 10,000m 이상 시추공을 뚫는 프로젝트로, 시추공이 깊어질수록 높아지는 온도 및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고성능 강재가 필수적이었음
• 9,300m 깊이에선 온도가 180℃에 달하며, 10,000m 이상부터는 200℃가 넘음
- 이 외에, 지난 1월 보강고분은 보산기지에서 1.3GPa, 1.5GPa급 전기 아연도금 강판 기가 스틸을 생산
- 해당 강재는 자동차 보강재, 배터리 팩 프레임 등 중요 제품에 활용될 예정
2) 하북강철
- 하강 산하 무양강철(舞阳钢铁)은 중국 최초로 고망간강을 선박 LNG 연료 탱크에 적용
• 해당 강재의 망간 함유량은 22~25%임
- 고망간강은 고강도·내마모성·극저온 인성·비자성 부문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음. 현재는 LNG 연료 탱크 등 에너지 산업에서 활용도가 높으며, 향후 군용 선박 및 자동차용 강판용으로 주로 활용될 강재로 주목받고 있음
- 해당 고망간강을 적용한 선박은 현재까지 37,000km 이상을 운항
* 그림. 무양강철의 고망간강
* 자료. 하강그룹
- 또한, 하강 산하 당산강철(唐山钢铁)은 지난 1월 철강 업계에서 가장 얇은 수준인 0.9mm 두께에, 980Mpa급 고강도 QP강(Quenching & Partitioning)*을 생산
* QP강: 주로 자동차용 고강도강으로 활용되며, 고온에서 급랭 후 재가열, 재급랭하는 과정을 거쳐 강도를 높임
- 당산강철은 생산한 QP강을 자동차 부품용으로 가공한 후 고객사에 납품
* 그림. 당산강철의 QP강
* 자료. 하강그룹
3) 수도강철
- 수도강철 산하 경당강철(京唐钢铁)은 자사의 초고강도 해양 구조강을 UAE 해양 엔지니어링 업체 Drydocks World의 크레인선 프로젝트에 납품
- 납품된 강재의 두께는 최대 130mm로, 5,000톤급 크레인선의 크레인 제작에 활용
* 그림. 경당강철의 초고강도 해양 구조강으로 제작된 크레인
* 자료. 수도강철
4) 남경강철(南京钢铁)
- 남경강철은 중국 최초의 대규모 부유식 천연가스 액화 설비 건설에 자사의 탄소-망간강(C-Mn강)을 공급
* 탄소-망간강(C-Mn강): 망간 첨가 탄소강. 저온에서도 강도와 인성이 뛰어나며, 기계 및 건설 분야에서 많이 활용됨
- 해당 설비는 콩고 공화국의 수도 브라자빌에서 50km 떨어진 해역에 설치될 예정으로, 인근 가스전에서 1,076만㎥/日의 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액화
* 그림. 남경강철의 C-Mn강
* 그림. 남경강철의 C-Mn강이 적용된 부유식 천연가스 액화 설비
* 자료. 남경강철
5) 호남강철(湖南钢铁)
- 호남강철 산하의 상담강철(湘潭钢铁)은 초고강도·내마모성 선박용 강판 AB/AQ98을 2만 톤급 철광석 운송용 바지선 건조에 납품
* 그림. 호남강철의 초고강도·내마모성 선박용 강판으로 건조된 바지선
* 자료. 호남강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