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경영연구원이 함께 합니다.

글로벌 철강동향

중국 바오터우 철강, 제철소내 산업용 로봇 배치 늘린다

2020-07-12

○ 중국 바오터우(Baotou) 철강은 최근 산업용 로봇을 도입하여 사람의 노동력을 활용한 생산 방식을 자동화, 무인화로 바꿔나가고 있음


  - 중국 중상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4월 중국의 전국 산업용 로봇 생산량은 1만9257대로 전년 동기 1만2917대 대비 49.1%나 증가


  - 바오터우 철강도 '19년 로봇 프로젝트로 19대를 도입한데 이어 올해는 표면 Grinding 로봇, 샘플 운반 로봇 등 8종의 산업용 로봇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등 로봇 설비 도입과 함께 자체 로봇 연구 개발을 강화하고 있음


○ 바오터우 철강은 도금 포트내 부유물 제거, 포장 작업, 라벨 작업, 샘플 작업 등 제철소 내 여러가지 작업을 산업용 로봇으로 대체하여 생산성과 안정성을 높임


  - 바오터우 철강은 아연 도금 강판 생산 라인의 도금 포트 내 부유물,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데도 지능형 로봇을 도입했음. 도금 공장의 왕용(Wang Yong) 부사장은 "공장에서 도금 부유물 제거용 로봇을 사용한 후 10%였던 Dross* 불량률이 현재 9%로 낮아졌다"며 "불량률 1% 포인트를 1년으로 환산하면 약 RMB60만이 절약되는 셈"이라고 설명


  * Dross: 용해된 금속의 안 또는 윗면에 떠오르는 산화물이나, 용융아연도금 노 바닥에서 발생하는 금속간 화합물 등의 침적물


  - 화성부에서는 황산암모늄을 포장하는 자동 포장 라인에 로봇을 효율적으로 이용함. 전체 생산 라인은 야드 적재 로봇 시스템, 로봇 백 그리퍼(bag gripper), 자동 포장 기계 등으로 구성됨


  - 또한, 압연 라인의 자동 라벨 부착 로봇은 압연 코일에 라벨을 붙이고 스캔할 뿐 아니라, 스틸 코일의 정보와 비교하여 올바르게 붙인 것인지 확인하는 역할을 담당. 기존에는 라벨을 수작업으로 부착하여 위치가 부정확했으며, 24시간 교대로 작업자가 상주해야 했음


  - 스마트제조 담당 수석기술책임자인 자오지안(Zhao Jian)은 "과거 5년동안 압연 코일 라벨링은 에러율이 약 5%였다"며 "라벨링 로봇이 생산 라인에 도입된 후, 각 로봇은 24명의 직원을 대체했으며, 라벨 부착 위치 및 제품 정보가 더욱 정확해졌다"라고 설명


  * 사진. 바오터우 철강이 생산 라인에 투입한 로봇